[archive] 개발자격증(정보처리기사/OCP/OCJP/SQLD/LINUX MASTER/네트워크관리사)
1 minute read
[youtube] 개발자 필수 자격증. 다른건 몰라도 이건 꼭!!! 따세요! 이걸로 몸값이 달라진다?
- 자격증은 부차적인 것이고, 실력이 제일의 조건인 건 잊지말자
- 그럼에도 불구하고 필수적인 자격증 → 정보처리기사 자격증
- 자격증 ≠ 그 분야의 전문가
- 자격증이 그렇게 중요하다고 생각하지는 x
- 정처기가 중요한 이유?
- 개발자 = 초급개발자, 중급개발자, 고급개발자
- startup에서는 의미가 없지만 SI나 기업, 프리랜서일 경우 중요해진다(KOSA 기준 등급) → 특히 공기업
- 꼭 공기업에 취직하지 않더라도, 회사 내부 프로젝트가 공기업에서 딴 프로젝트일 경우 해당 공기업에서 요구하는 프로젝트 참여 개발자의 등급, 정보처리기사 취득 유무에 따라서 프로젝트 참여 가능 여부가 결정되는 경우가 있다.
- 몸값과 연관있음
- ex) 이미 2년 경력 → 정보처리기사 자격증 → 3년 경력 ≠ 정보처리기사 자격증 → 5년(2년+3년) 경력
- 사실상 경력은 같지만, 정보처리기사 자격증 획득 기준으로 초/중/고급 개발자를 분류하기 때문에 억울한 일 생길 수 있다.
- 따라서 정처기 따는 건 ASAP → 무조건 따는 게 ㄱㅇㄷ
- 정처리 = 필기 + 실기
- 공부방법 : 난이도 높지 않음
- 기출문제 + 시중 정처기 교재
- 최근 기출문제가 부족해졌다라는 코멘트가 있음 → 그렇다고 어렵지 않음
- 응시자격있음 : 4학년 1학기 or 재직경력
OCP/OCJP
- 오라클(Oracle)에서 주최하는 시험
- 오라클? 1977년 래리 엘리슨이 설립한 미국의 대표적인 소프트웨어 회사 및 그 회사에서 만드는 RDBMS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의 약칭. DBA를 꿈꾸고 있다면 가장 기본적으로 다룰 줄 알아야 하며 웹 서버를 공부할 때도 은근 자주 보게 될 이름이다. 본사는 캘리포니아 실리콘밸리 레드우드시티에 있다.
- 시험료 개비쌈
- 물론 없는 것보다는 있는 게 낫겠지만, 딱히 도움되는 게 없음
SQLD
- 쿼리작성능력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따게 되었음
- 같은 쿼리문이라고 해도 어떻게 쿼리를 튜닝하느냐에 따라 프로그램의 성능이 달라지기 때문
- sql developer → 업무에 도움이 된다.
LINUX MASTER
- 실무보다 너무 deep
- 리눅스 서버 개발자가 아니라면 그다지 도움되지는 않을수도?
- 그래도 인정받는 자격증
네트워크 관리사 자격증
- 웹개발자보다 네트워크 관련 쪽 통신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에게 도움
- 네트워크의 범위 굉장히 방대,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다
- 너무 딥한 리눅스마스터에 비해 전반적으로 다루는 듯하다.
- 공부하면 업무보는데에 도움이 될 것 같다.
Reference